총 1,195건 중 1,000건 출력
,2/100페이지
-
11.
- 80년대 학생운동 주체 서사의 대중화 전략과 그 한계 : 김영하의 『무협학생운동』을 중심으로 (The strategy and limitations of popularization of narratives of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80s: Focusing on the Kim Young-ha’s The Student Movement in the Rives and Lakes)
- 최혜령(Choi, Hyeryeong) (구보학보, Vol.- No.29, [2021])
-
12.
- 김영하의 「흡혈귀」내의 보르헤스의 환상문학적 요소
- 이상윤 (중남미연구, Vol.20 No.1, [2001])
-
13.
- 1990년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확산과 김영하 초기소설의 관련양상에 대하여 (폴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에 주목하며)
- 윤재민(Yoon, Jae Min) (동악어문학, Vol.77 No.-, [2019])
-
14.
- 서사전략으로서 오독(誤讀)의 효과와 의의 : 김영하의 『살인자의 기억법』에서 나타나는 독자의 오독(誤讀)을 중심으로 (Effect and significance of misreading as an narrative strategies: Focusing on the misreading of the reader in Kim Young-ha’s Memoir of a murderer)
- 최혜령(Choi, Hye-ryeong) (구보학보, Vol.0 No.24, [2020])
-
15.
- 다양성과 전문성 진작을 위한 문학교육 연구 -김영하의 「당신의 나무」를 중심으로- (A Study on the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Diversity and Expertise - Focusing on “Your Tree” by Kim Young-ha -)
- 박수현 ( Park¸ Soo-hyun ) (국제어문, Vol.0 No.87, [2020])
-
16.
- 요시모토 바나나 『키친』과 김영하 『오빠가 돌아왔다』 비교 연구- 소설구성 3요소를 중심으로 -
- 박정이 (일본학, Vol.45 No.-, [2017])
-
17.
- 서사 기법으로서의 퀴어-김영하의 소설 “사진관 살인 사건”, “거울에 대한 명상” 그리고 영화 “주홍글씨”의 서사 구조 분석- (Queer as the narrative Technique -The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of Kim young-ha’s novel“Photo shop murder” “Meditation of the mirror” and the Movie “The Scarlet Letter”)
- 윤정화 (대중서사연구, Vol.- No.28, [2012])
-
18.
- 소설에서의 생존 게임― 김영하의 퀴즈쇼 와 왕샤오보(王小波의 황금시대(黃金時代) 를 중심으로 (The Survival Game in Fiction -Focusing on Kim Young-ha’s Quiz Show and Wang Xiaobo’s The Golden Age)
- 적우비 (비평문학, Vol.- No.96, [2025])
-
19.
-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명자본과 죽음 - 김애란, 윤고은, 김영하의 소설을 중심으로 (A Study on Vita Capitalism and Death in Contemporary Novels - Focused on Novels by Kim, Ae-ran, Yun, Go-eun, and Kim, Young-ha)
- 김지혜 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 Vol.30 No.2, [2022])
-
20.
- 1990년대 소설의 ‘문화적 인간’과 포스트모던적 진정성의 이상: 장정일, 윤대녕, 김영하를 중심으로 (‘Cultural Human’ and the Ideal of Postmodern Authenticity in 1990s Novels)
- 최승태 (Journal of Korean Culture, Vol.63 No.-, [2023])